정부지원사업 준비는 어떻게 하나요?

정부지원사업 준비는 먼저 지원사업의 과제 중에 본인에 해당하는 것을 찾아
그 과제별 특성에 맞게 착실하게 미리 준비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전장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 정부지원 사업의 종류는 어떤 것이 있나요?

중소벤처기업부 창업진흥원 홈페이지나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에서 통합공고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으며 본인의 사업체가 몇 년 차에 해당하는지 매출과 기타 조건이 지원하려는 과제와 부합하는지를 미리 면밀히 검토하여 지원하기 전에 사전조건들을 다 맞추어 놓아야 합니다.

⊙ 나에게 맞는 정부지원 과제는 어떻게 찾나요?

창업년차별로 검색하시거나 관심분야를 선택해서 찾으시면 됩니다. 본인이 가지고 있는 사업 아이템에 맞는 지원사업을 찾기 어려우시다면 피디컨설팅에 문의해 주세요. 성심껏 상담해 드리겠습니다.

과제별 사전조건 ( 신청자격 )

정부지원사업은 과제별 자격 및 조건이 다 다릅니다.

신청자격 및 필수조건 검토 필수

본인은 지원할 사업과제에 조건이 다 부합하다고 판단하여 사업계획서까지 다 써놓고, 나중에 신청할 때 어이없게도 사전 조건에 부합하지 않아 신청 자체를 포기하는 분들도 보았습니다. 이런 분들은 안타깝게도 1년을 더 기다리거나, 다른 지원과제에 부합하도록 조건을 변경하여 다시 시도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럴 때는 하반기에 다시 신청해야 하기 때문에, 대부분 지원과제의 금액이 확 줄어드는 경우에 해당합니다.

신청 진행과정

정부지원사업은 자금이 상반기에 몰려 있습니다. 1월 ~ 3월 까지 집중해서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하반기는 사업 경쟁률이 매우 높아지고 예산 배정도 적습니다. 즉, 떨어질 확률이 높고 금액은 오히려 줄어듭니다.

⊙ 신청 및 선정 요건

보통 6개월에서 3개월 전에 사업아이템을 정하고 이 아이템에 맞는 지원사업을 찾습니다. 본인이 지원하려는 과제의 특성과 아이템이 부합하는지, 사업체의 상황과 과제의 조건이 부합하는지 철저히 검토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사전검토가 끝나면 작년 해당 공고에서 사업계획서 및 서류를 다운로드 받고 그 과제의 특성에 맞게 사업계획서를 작성합니다. 보통 사업계획서는 공고가 뜨기 전에 준비를 해 놓습니다. 공고가 1월~3월에 가장 많이 뜨기 때문에 적어도 2023년 12월말까지는 사업계획서 초안을 작성해 놓으셔야 합니다.

선정 지원 패키지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표님께 정부지원사업 선정을 위한 지원 패키지를 제공합니다.

아이템 구체화
지원사업 선별

기업 역량 및 아이템을 분석하여 
해당 지원사업에 맞게 고도화 전략을 수립합니다. 

선별한 지원사업에 맞는
사업계획서 작성

지원사업에 선정되기 위해서는 사업계획서가 지원사업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원사업의 특성을
잘 이해하고 그에 맞는 사업계획서를 작성합니다.

발표자료 작성
발표요령 및 질의답변

사업계획서 선정 후에는 발표자료 작성 및 질의응답 준비를 위한 시간이 촉박합니다. 따라서, 미리 발표자료를 준비하고, 사전에 모의발표와 심사위원의 공통적인 예상 질문에 답변을 하는 리허설을 도와드립니다.

사업 선정 이후
지속적인 파트너쉽

지원사업 선정 이후, 많은 분들이 낯선 각 정부 시스템에서의
업무처리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 저희는 지속적인 파트너쉽을 통해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정부지원사업 PD 컨설팅